다시 터진 ESS화재 미스터리 배터리업계 발목잡나

정승원 입력 : 2019.09.02 07:49 ㅣ 수정 : 2019.09.02 10:45

ESS화재 미스터리 배터리 업계 긴장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지난 6월 11일 민관합동조사위원들이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사고에 대한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민관 합동 화재원인 발표이후 화재 또발생

[뉴스투데이=이진설 경제전문기자] 에너지저장장치(ESS)의 연쇄화재가 2년여 가까이 이어져 오면서 관련업계가 전전긍긍하고 있다. 지난해 집중적으로 발생했던 ESS 화재에 대한 민관 조사결과와 고강도 안전대책이 나왔음에도 또다시 ESS에서 24번째 화재가 발생하자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이 가시지 않고 있다.

 

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20178월부터 최근까지 ESS 설비에서 계속해서 화재가 발생하자 민관 합동조사단을 꾸려 화재원인 조사에 착수했다. 처음에는 배터리 자체의 문제가 아니냐는 의혹이 있었지만 민관 합동조사의 결론은 복합적인 인재로 나왔다. 제조결함과 관리부실, 설치 부주의 등 복합적인 요인들이 어우러져 ESS화재 사건이 속출했다는 것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6월 발표한 종합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7년 8월부터 올해 6월까지 반복적으로 진행돼온 23건의 ESS 화재는 배터리 보호시스템 미흡, 운용관리 부실, 설치 부주의, 통합관리체계 부족 등 크게 네 가지가 원인이 되어 화재로 이어졌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조사를 진행하면서 지난해말 안전점검을 받지 않은 1253곳의 ESS에 대해 가동중단을 요청했다. 올해 1월에는 민간사업장에도 별도의 전용 건물이 설치돼 있지 않으면 원칙적으로 가동을 중단해달라고 요청했고, 별도의 전용 건물에 설치된 경우에는 최대 충전율이 70%를 넘지 않도록 운전해달라고 권고했다.

 

정부의 합동조사결과가 나온 6월이후 잠잠하던 ESS 화재는 그러나 지난달 30일 충남 예산군 광시면 미곡리에 있는 한 태양광 발전시설의 ESS에서 또다시 화재가 발생하면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이번 화재는 배터리 제조사인 A사의 권유에 따라 ESS 충전율을 기존 70%에서 95%로 상향조정한 직후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업계는 19개월간 집중적으로 발생했던 ESS 화재와 관련해서 올해 6월 원인조사 및 안전대책이 나오면서 그동안 70% 이하로 낮췄던 충전율을 순차적으로 예전 수준으로 되돌리고 있었는데 이 상황에서 또다시 화재가 발생하자 망연자실한 모습이다.

 

특히 업계는 ESS 화재 재발로 인해 모처럼 살아나던 ESS 산업이 또다시 발목이 잡히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LG화학은 ESS 연쇄화재로 인해 올 1분기에만 1200억원의 손실을 봤다.

 

BEST 뉴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주요기업 채용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