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르포] '시공사 재신임' 앞둔 한남2구역에 내걸린 현수막..."지연 시 조합원 부담 늘어"
한남2구역, 27일 시공사 2차 재신임 총회
'대우건설 OUT' 쓰여진 의문의 현수막 걸려
"다른 한남뉴타운 이자만 90억...부담 늘어날 것"

[뉴스투데이=김성현 기자] 시공사 재신임 여부를 결정하는 총회를 앞두고 있는 한남2구역 조합이 정보 전달 및 내부 절차를 둘러싼 잡음이 계속 발생하고 있다. 조합과 시공사 간 이견이 좁혀지지 않는 가운데, 건설사 변경이 현실화될 경우 관리처분계획 재수립 등 후속 절차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며 사업 추진 속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한남2재정비촉진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 조합이 오는 27일 총회를 통해 시공사 대우건설에 대한 2차 재신임을 묻는다.
조합은 총회를 앞두고 최근 조합원들에 총회 관련 책자를 발송했다. 발송한 책자에는 79페이지와 80페이지가 누락돼 있다. 해당 책자는 78에서 81페이지로 넘어간다. 누락된 79페이지에는 용산구청이 한남2구역 조합에 ‘민원사항 관련 안내’(시공사 재재신임 관련)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다.

<뉴스투데이>취재 결과 용산구청은 공문을 통해 “사업의 안정성 및 효율성 제고를 위해 아래와 같이 안내하오니 시공사 재재신임을 위한 조합 총회 전 조합원들에게 충분한 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협조해 주시기 바란다”며 “총회를 거쳐 시공사와의 계약이 해지될 경우 관리처분계획 인가는 새로운 시공사 선정 후, 사업비 변경에 따른 관리처분계획 수정본, 변경된 시공사 계약서 사본 등 관련 증빙서류가 보완된 후 인가처리 예정”이라는 내용을 전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용산구청 관계자는 <뉴스투데이>와 통화에서 “78~79페이지는 구청에 제출한 자료에도 누락됐다”며 “조합 측에서 추가적으로 보완해 차후 조합원들에 문자 혹은 우편을 통해서라도 별도 고지하겠다고 알려왔다”고 말했다.

한남2구역 조합은 <뉴스투데이>와의 통화에서 “해당 내용은 차후 고지할 것이지만 총회 자료에 포함시키거나 총회 때 언급할 계획은 없다”고 말했다.
한남2구역이 기존 계약 해지 후 새로운 시공사를 구하게 된다면 관리처분계획 등의 재수립에 적지않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새 시공사 선정을 위한 현장 설명회를 포함해 총회와 입찰, 선정 등 최소 6개월 이상의 시일이 소요된다. 관리처분인가 재승인에도 6개월 넘기 때문에 도합 1년 가량의 기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시공사가 바뀌게 될 경우 조합원이 분담해야 하는 공사비가 올라갈 것이라고 보고 있다. 장귀용 정비사업 총괄기획·컨설팅 창 대표이사는 <뉴스투데이>에 “상계주공5단지 사례만 봐도 알 수 있듯이 해지 시 공사비는 무조건 오른다”며 “결국 시공사 선정을 위해 시간이 흐른 만큼 비용은 증가한다고 생각하면 된다”라고 설명했다.

노원구 상계주공5단지 재정비사업의 경우 지난 2023년 11월 기존 시공사인 GS건설과 분담금 문제로 계약을 해지했다. 상계주공5단지는 한화건설과 더 높은 금액에 계약을 앞두고 있어 조합원들의 부담이 가중되는 결과를 낳았다.
최근 한남2구역은 조합 사무실에는 ‘대우건설 OUT! 탑티어 건설사로 바꿉시다’라는 문구가 적힌 현수막을 내걸렸다. 조합원들의 항의가 빗발치자 조합 측은 현수막을 제거했다. 조합은 해당 현수막에 대해 "현수막은 누가 걸었는지 알지 못하며 경찰을 통해 사실확인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상황 속에 전체 조합원들 대상으로 시공사 교체를 종용하는 의문의 문자 메시지도 발송됐다. 메시지에는 “조합원 여러분!! 대우 계약 해지 시 탑티어 시공사가 참여할 것을 확신한다. 조합장 직을 걸고 책임지겠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조합 관계자는 “해당 문자는 신원미상으로 발송돼 어떠한 경로로 조합원의 명부를 확보했는지, 누가 발송했는지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한남2구역 재개발 사업 지연될 경우 조합원들의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장 대표는 “한남2구역 조합이 ‘118프로젝트’(최고 118m 높이의 21층 아파트를 짓겠다는 대우건설의 계획) 무산에 대한 책임으로 시공사와의 계약을 해지하려 하지만 당장 묘수가 있는 것은 아닌 것 같다”라면서 “또 부동산PF와 같은 금융 리스크도 감안해야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 곳과는 상황이 다르지만 한남에 위치한 다른 재개발 구역도 PF 이자로만 한 달에 약 90억원을 지출하고 있어 빠른 사업 시행이 이뤄지지 않으면 조합원들의 부담은 계속해서 늘어날 것”이라고 부연했다.
한남2구역의 대주단은 조합에 대우건설과의 계약 해지 시 대출 연장을 거부하거나 기한이익상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이 경우 연대보증인 대우건설이 금액을 선 지불하고 조합에 구상권을 청구할 수 있다. 한남2구역 조합이 국공유지 매입 등을 위해 일으킨 PF 대출금은 약 1676억원이다.
BEST 뉴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