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도로 낙하물 2차사고 예방하려면…처리 신고 필수
[뉴스투데이=황경숙 기자] SBS 방송의 맨인블랙박스에서 고속도로 낙하물 사고 관련 방송을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그 아찔함에 깜짝 놀랄 것이다. 특히 가을철이 되면 고속도로 낙하물 사고가 급격히 증가하기 때문에 더욱 주의가 요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현대해상(대표 조용일·이성재)에서 ‘고속도로 낙하물 사고 특성분석’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낙하물 사고를 예방하려면 고속도로 운전시 전방주시와 감속운행에 유의해야 한다. 또 사고 발생 후 후속 차량이 연이어 사고 나는 것을 방지하지 위해 낙하물 처리 신고를 꼭 해야 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뒷받침하는 조사로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가 지난 4년(2017~2020년) 동안 현대해상의 고속도로 낙하물 사고 6만 5천 건을 분석했다. 결과로 최근 4년간 고속도로 낙하물 사고 발생빈도는 연평균 5.6%, 지급보험금 규모는 15.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별로 비교해보면, 가을철(9~11월)이 전체 낙하물 사고 발생건수의 30.1%를 차지했으며, 지급보험금 규모도 29.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속도로 낙하물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달은 9월이었으며, 졸음운전이 동반되기 쉬운 14시부터 16시 사이에 집중됐다.
낙하물 사고 유형은 낙하물 충돌 단독사고가 54.0%, 낙하물 충돌·회피로 인한 2차 충돌사고가 39.4%, 낙하물을 밟거나 피하려다 차량이 뒤집어지는 등의 전도/이탈사고가 5.2%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도/이탈사고는 발생빈도는 낮으나 건당 지급보험금이 1,022만원으로 낙하물 사고 전체 평균 지급보험금(595만원/건)보다 1.71배 높아 사고 심각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차 충돌사고 중 후미추돌 사고의 건당 지급보험금도 895만원으로 높았다.
연구소는 낙하물의 행태와 발생원인을 분석한 결과, 사고를 유발하는 낙하물은 건설자재 45.8%(대형 건설자재 37.9%, 소형 건설자재 7.9%), 택배에 주로 쓰이는 운송용 포장박스 17.9%, 컨테이너/드럼통 8.9% 순으로 나타났다. 사고발생 당시 화물의 상태는 낙하중인 경우가 전체 사고의 63.1%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를 유발한 낙하물의 발생원인은 화물 적채조치(적재방식, 결박, 포장범위 초과) 불량이 78.2%로 가장 많아 적재조치 불량에 대한 안전관리 매뉴얼 현실화와 단속 강화가 필요해 보인다.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 김태호 박사는 “갑자기 낙하물을 발견하거나 충돌하는 상황에서는 사고심각도가 높은 차량 전도/이탈이나 후미추돌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과도한 핸들 급조작을 최소화하고, 2차·3차 후속사고 예방을 위해 신속히 비상점멸등을 켜고 우측 갓길로 차량을 이동해 낙하물 처리 신고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특히, “낙하물 발견이 어려운 야간에는 후속 차량의 사고예방을 위해 낙하물 처리 신고를 더욱 적극적으로 해야한다”며, “이를 적절하게 처리하지 않을 경우 낙하물을 밟고 차량이 전도되는 구름판 효과(Flip Effect) 현상이 발생해 대단히 위험하다”고 말했다.
댓글(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