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준생을 위하여(143)] HK이노엔, ‘케이캡’과 ‘컨디션’의 서로 다른 소비자 공략법을 탐구하라
이가민 기자 입력 : 2023.09.14 00:04 ㅣ 수정 : 2023.09.14 00:04
HK이노엔 취업준비생, 전문의약품과 헬스&뷰티 부문 소비자 공략법의 차이점을 분석할 수 있어야
‘고용절벽’ 시대의 효율적인 취업전략은 무엇일까요. 주요기업 인사담당자들은 한결같이 직무능력을 키우라고 조언합니다. 지원 기업이 공략하는 시장, 신제품 그리고 성장전략 등을 탐구하라는 주문입니다. 이런 노력을 쏟은 사람이 ‘준비된 인재’라는 설명입니다. 뉴스투데이가 이런 노력을 돕기 위해 취준생들의 스터디용 분석기사인 ‘취준생을 위하여’ 연재를 시작합니다. <편집자 주>
HK이노엔 곽달원 대표이사 사장 [사진=HK이노엔 / 사진편집=뉴스투데이]
[뉴스투데이=이가민 기자] HK이노엔(대표이사 곽달원 사장)은 1984년 창립된 대한민국 대표 제약사로 2018년 한국콜마에 인수되면서 2020년 HK이노엔(前 CJ헬스케어)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주요 사업별 대표 제품에는 전문의약품의 ‘케이캡’, 헬스 부문의 숙취해소 브랜드 ‘컨디션’, 뷰티 부문의 더마코스메틱 브랜드 ‘클레더마’가 있다.
특히 2019년 출시한 대한민국 30호 신약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케이캡정’을 통해 국내 1위를 넘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일본, 동남아, 중남미 수출 확대에 이어 유럽, 중동까지 글로벌 마케팅 역량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또, HK이노엔은 다국적 제약사와의 제휴를 통해 국내 의약품 보급과 HK이노엔이 개발한 신약 및 바이오 의약품을 글로벌 시장에 선보이고 있다.
HK이노엔 곽달원(63) 대표이사 사장은 CJ제일제당 제약부문 영남지역영업부장, 영업지원팀장 등을 거쳐 CJ헬스케어 각자대표를 맡았다. 사명이 HK이노엔으로 변경된 이후 ETC 사업총괄, 생산총괄을 맡았으며, 2022년 대표이사로 선임되었다.
HK이노엔 취업준비생은 이처럼 다양한 포트폴리오별로 서로 다른 소비자 공략법을 탐구함으로써 차별화된 경쟁력을 키울 수 있어야 한다.
■ 취준생 전략1=주력제품 ’케이캡’의 시장성과 성장 가능성을 분석하라
HK이노엔은 2023년 2분기 매출 2044억원, 영업이익 153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각각 18.9%, 13.2% 감소한 결과이다. 하지만 ‘케이캡’의 2분기 처방 실적은 전년대비 20% 증가한 384억원을 기록했다. ‘케이캡’의 성장세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HK이노엔이 2019년 출시한 ‘케이캡’은 HK이노엔의 대표적인 연구개발(R&D) 성과로 전 세계시장으로 진출하고 있다. ‘케이캡’은 P-CAB계열의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로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비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위궤양, 소화성궤양/만성 위축성위염 환자의 헬리코박터파일로리 제균을 위한 항생제 병용요법,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치료 후 유지 요법 등 국내의 동일계열 치료제 중 가장 많은 적응증을 갖고 있는 의약품이다. 한국의 경우 ‘케이캡’이 보유한 다섯 개의 적응증에 모두 보험급여가 적용되고 있다.
케이캡 [사진=HK이노엔]
HK이노엔은 ‘케이캡’에 대한 정보를 알리기 위해 임상 연구 결과를 공개하기도 했다. 지난 5월에는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2023년 소화기질환주간(Digestive Disease Week 2023, 이하 'DDW 2023')에서 국내∙해외 석학들을 대상으로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성분명 테고프라잔)의 최신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공개한 내용은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ERD)환자 대상 2주/4주간 케이캡정(테고프라잔) 투약 후 치유율을 확인한 다기관 4상 임상, 위점막하박리술(ESD) 후 의인성 궤양 환자에서 케이캡정의 효과를 확인한 연구자 주도 임상, 케이캡정 복용 시 위 배출 변화를 확인한 연구자 주도 임상 등 총 3가지다.
HK이노엔은 글로벌 시장에서의 신약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차별화 연구에 집중하고 있으며, 그 중심에 ‘케이캡’이 자리잡고 있다. HK이노엔은 ‘케이캡’의 가치를 글로벌 시장에 널리 알리고자 한다. ‘케이캡’의 뛰어난 효능이 입증되면서 ‘케이캡’의 진출 범위는 점차 넓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9월 현재 기준으로 ‘케이캡’이 기술 또는 완제품 수출 형태로 진출한 해외 국가는 총 35개 국가다. 이 중 현지 출시를 마친 해외 국가는 중국, 몽골, 필리핀, 멕시코,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등 6개이며, 7월 허가 받은 페루에서 출시 준비 중이다. 다른 동남아시아, 중남미 국가들에서 허가 절차를 밟고 있다.
HK이노엔에 취업하고자 하는 취업준비생은 주력제품인 ‘케이캡’의 시장성 분석을 통해 새로운 성장 가능성을 타진하는 능력을 키워야할 것으로 보인다.
■ 취준생 전략2=헬스&뷰티 제품의 신뢰도 강화 방안을 탐구하라
HK이노엔은 제약회사라는 정체성을 갖고 있지만, 헬스&뷰티 부문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헬스 부문의 제품군은 숙취해소제, 일반음료, 건강식품, 건강기능식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표 브랜드로는 ‘컨디션’, ‘헛개수’이 있다. 뷰티 부문의 제품군은 의료기기, 화장품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표 브랜드 ‘스칼프메드, ‘클레더마’가 있다.
헬스&뷰티 부문에서의 HK이노엔의 강점은 소비자의 신뢰를 얻을 수 있는 이미지에 있다. 제약회사이기에 제품 성분에 대한 믿음과 연구 개발의 과정이 보다 과학적이라는 느낌을 준다.
지난 4월 출시된 데일리 티(tea) 브랜드 ‘티로그’도 그렇다. ‘티로그’는 즐겁게 건강을 관리하는 ‘헬시플레저’ 트렌드에 맞춰 맛과 칼로리를 동시에 잡은 제품이다. 제로 칼로리 아이스티 음료 제품으로 경쟁이 치열한 제로 칼로리 음료 시장에서 출시 3개월 만에 누적 판매량 1000만병을 돌파하는 기록을 세웠다.
데일리 티(tea) 브랜드 ‘티로그’ [사진=HK이노엔]
HK이노엔이 6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티로그’는 출시 직후 1020세대를 중심으로 ‘맛있는 제로 칼로리 아이스티 음료’라는 입소문이 확산되면서 지속적인 판매 실적을 이끈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티로그’는 납작복숭아 아이스티 홍차, 제주청귤 아이스티 녹차 등 2가지 맛으로 출시됐다. 최적의 온도에서 찻 잎을 직접 우려 추출한 ‘리얼 티 브루잉(Real TEA Brewing)’ 공법으로 차 본연의 진한 맛과 향을 살린 것이 특징이다.
‘컨디션’의 경우 1992년 국내 최초 숙취해소 제품으로 시장을 개척해왔으며, 수요의 변화에 따라 스틱 스타일을 출시하는 전략을 보였다. HK이노엔은 지난 3월 숙취해소제 컨디션 스틱 출시 1주년을 맞이해 ‘아르기닌’과 ‘비타민B군’을 함유한 업그레이드 제품을 선보였다. 제품 성분 변화를 통해 제품의 주된 기능인 숙취해소에 더하여 에너지 충전과 활력 증진까지 챙긴다는 전략이다.
HK이노엔 취업준비생은 헬스&뷰티 부문의 소비자 공략법이 전문의약품 부문과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나름의 견해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 의약품의 경우 특정 소비자만이 소비하지만, 헬스&뷰티 제품의 경우 보다 다양한 소비자이 소비하는 제품이다. 이러한 특성에 따라 HK이노엔이 전개하는 마케팅 활동과 성장전략은 다르다. 이 같은 다름에 대한 이해력이 경쟁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