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

검색
https://m.news2day.co.kr/article/20250516500242
JOB현장에선

직무가치에 따른 보상, Z세대 83%가 원한다…‘직무급제’에 쏠리는 관심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가민 기자
입력 : 2025.05.16 18:20 ㅣ 수정 : 2025.05.16 18:20

Z세대 10명 중 8명 ‘직무급제 찬성’…입사 후 직무 전환 의향도 동일 비율
찬성 이유 1위 ‘합리적 보상’ 75%…반대 이유 1위 ‘기준 모호’ 52%

image
Z세대, 직무급제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사진=미드저니 / Made by A.I]

 

[뉴스투데이=이가민 기자] 성과 중심의 보상 체계를 향한 움직임이 국내 고용 시장 전반에서 뚜렷해지고 있다. 롯데그룹이 국내 대기업 최초로 전 계열사에 ‘직무급제’를 전면 도입하면서, 연공서열 중심의 임금 체계가 대전환기를 맞고 있다. Z세대 구직자 10명 중 8명이 직무 기반 보상에 찬성한다는 조사 결과도 나와, 보상 기준을 '일의 가치'로 옮기려는 변화가 확산될 전망이다.

 

상위권 채용 플랫폼 진학사 캐치가 Z세대 구직자 2033명을 대상으로 ‘직무급제’에 대한 의견을 물어봤다. 그 결과 83% 비중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하는 비중은 17%였다.

 

image
직무급제 찬반 [자료=진학사 캐치 / 그래프=뉴스투데이 이가민]

 

‘직무급제’란 구성원이 수행하는 업무의 난이도, 중요도, 전문성 등에 따라 기본급을 차등 지급하는 제도로 일부 대기업, 공공기관 등에서 도입하고 있다.  

 

직무급제에 찬성하는 이유로는 ‘업무 가치에 맞는 합리적 보상 체계라서’가 75%로 가장 높았다. 이어 △어려운 직무에 도전할 동기가 생겨서(12%), △조직 경쟁력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8%), △연공서열보다 더 공정한 방식이라서(4%)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제도 도입에 반대하는 경우에는 ‘직무 가치 판단 기준이 모호하다(52%)’는 점을 주요 이유로 지목했다. 이어서 △직무 간 위계 및 차별 구조 우려(22%), △일부 인기 직무에 쏠림 현상이 심화(13%), △저평가된 직무 종사자의 의욕 저하(12%) 등도 함께 지적됐다.

 

이처럼 직무급제 도입 과정에서는 적잖은 혼선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직무의 가치를 어떻게 평가할지에 대한 내부 논의가 계속되는 가운데, 일부 직무가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취급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특히 ‘상대적으로 가치가 낮은 직무’를 구별하는 과정이 새로운 불공정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어, 조직 내 공정성과 제도에 대한 수용 여부가 중요한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직무 가치를 판단할 때 어떤 기준이 가장 공정한가(복수 응답)’를 묻는 질문에는, ‘직무의 전문성 및 기술 수준(62%)’이 가장 높은 선택을 받았다. 그 외에도 △조직 기여도 및 사업 성과 연계성(33%), △업무의 책임강도(26%), △근무 환경 및 위험도(19%), △대체 가능성(9%) 등 의견도 있었다.

 

또한, ‘희망 직무 입사 이후, 더 높은 연봉이 보장되는 직무로 전환 가능하다면 이동할 의향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83%가 ‘전환하겠다’고 답해, 직무 중심의 보상 체계에 따라 커리어 및 진로를 조정할 의향이 있음을 보여줬다.

 

김정현 진학사 캐치 본부장은 “Z세대는 단순 연차에 따른 보상 보다는 실제 일의 가치와 성과 등에 기반한 평가와 보상 체계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다만 직무급제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명확하고 투명한 직무 가치 기준과 체계적인 설계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직무급제의 도입은 일의 가치를 중심으로 한 공정한 보상 체계를 구축하려는 중요한 시도이다. 이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기준 설정과 투명한 소통이 필요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조직 내 신뢰와 동기 부여가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 뉴스투데이 & m.news2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JOB 많이 본 기사

  1. 1 고용노동부, 퇴직연금 의무화 추진하지만 '일시금 수령' 폐지는 사실무근
  1. 2 [지금 일본에선(817)] 급증하는 장기 체류 외국인에 규제카드 만지작
  1. 3 '65세 정년 연장' 신호탄 쏜 김민석 총리... 양대 노총과 청년층 간 미묘한 갈등 조짐
  1. 4 [직장 돋보기 분석] 한화손해보험, 평균연봉1억600만원인 최초의 민족자본 손보사, 나채범의 '여성 특화' 전략이 성장 주도
  1. 5 [SK AX가 일하는 법] AI로 채용하고, AI로 일한다… AI 산출물에 대한 해석력이 중요해져
네이버 블로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이메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