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K 민심 흔드는 '반정치' 실험…이준석 부산 공약 집중 분석

[부산/뉴스투데이=김태형 기자]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 후보가 부산을 중심으로 한 맞춤형 공약을 연이어 내놓으며, 보수 정치의 새 흐름을 예고하고 있다. '보수의 노무현'을 자처한 이 후보는 TK 중심 보수정치의 틀을 깨고, 부산에서 정치 혁신과 세대 교체의 비전을 실험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내비치고 있다.
이 후보의 부산 공약은 산업 재도약과 미래 먹거리 창출에 방점이 찍혀 있다. 그는 리쇼어링 전략을 통해 해외로 이전했던 국내 기업을 부산의 낙후된 산업단지로 복귀시키겠다고 약속했다. 조선·자동차 부품 중심의 쇠퇴한 제조 기반을 '제2의 도약 거점'으로 바꾸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법인세 자치권 확대, 산업 인력 유치를 위한 연금·패스트트랙 제도 도입도 함께 제안했다.
금융 분야에선 '아시아 금융 허브 특별법'을 통해 부산을 글로벌 금융 중심지로 육성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 후보는 "부산에 본사를 둔 증권사의 거래에는 증권거래세를 인하하겠다"며 세제 인센티브로 국내외 금융사를 유치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중국의 정책 리스크로 본사 이전을 검토 중인 홍콩·상하이 금융사를 부산으로 끌어들이겠다는 전략도 덧붙였다.
데이터산업 관련 공약도 눈에 띈다. 이 후보는 '데이터특구 특별법'을 통해 부산을 글로벌 데이터 허브 도시로 만들겠다고 공약했다. 바다를 통한 냉각수 확보, 고리원전 기반 전력 공급, 해저광케이블 등 부산의 입지 여건을 살려 데이터센터 유치에 나서겠다는 구상이다. 법인세 감면, 장기 국유지 임대, 규제 최소화를 통해 구글·애플 등 글로벌 기업을 유치하겠다는 계획도 담겼다.
교통·물류 인프라 측면에서는 가덕신공항 활주로 2본 건설과 대구 산업선과의 철도망 연계 등을 약속했다. 북항 재개발에선 "부산의 문화 정체성을 반영한 바닷가 야구장을 조성하겠다"며 단순 체육시설이 아닌 세계적 관광 콘텐츠로의 구상을 밝혔다. 이는 부산의 정체성과 도시 이미지에 주목한 공약으로 풀이된다.
청년 정책에서도 기존 대선 공약과 차별화를 꾀했다. 이 후보는 청년에게 최대 5000만 원까지 연 1.7% 금리로 대출 가능한 '든든출발자금'을 제시했으며, 창업·주거·결혼·여행 등 자율 사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또한 수능 다회 실시, 9월 학기제 도입 등 학제 개편을 통한 출산율 회복까지 아우르는 구조적 접근도 제안했다.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등 경쟁 후보들의 공약에 대해서는 강도 높은 반박을 이어갔다. 이 후보는 "해수부는 기능별로 산업부와 국토부에 통합될 예정이라 이전 대상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으며 "기관 하나 옮긴다고 지방이 살아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HMM 부산 이전 공약에 대해서도 "상법을 안다면 할 수 없는 이야기"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이준석 후보는 "좌도 우도 아닌 앞으로"를 외치며 "매월 야당 대표와 정례 조찬회를 열겠다"는 협치 공약도 함께 내놨다. 지역 균형, 세대 균형, 산업 균형을 아우르는 공약들로 부산 유권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승부수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