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뉴스투데이=여정수 기자] 2025년 6월 2일, 제21대 대통령을 결정짓는 본투표를 하루 앞둔 오늘 전북특별자치도 전역은 조용한 긴장감 속에 마지막 선거운동의 순간을 맞았다.
공식 선거운동은 이날 자정을 기점으로 종료되며, 유권자들의 선택은 이제 오롯이 투표소 안에서 이루어진다.
전북특별자치도 민심은 이미 움직이고 있다. 29일과 30일 진행된 사전투표에서 전북특별자치도는 53.01%의 투표율을 기록하며 전국 평균을 크게 상회했다.
특히 순창군은 69.35%, 진안군은 63.12%, 임실군은 62.09%를 기록하며 도내 군 지역에서 유례없는 정치적 참여 의지를 드러냈다. 이 같은 흐름은 단순한 수치 이상으로 전북특별자치도민들이 갖는 ‘선택의 진지함’을 방증하는 결과로 평가된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번 조기대선이 ‘정치불신에 대한 응답’이라기보다는 ‘정책으로 평가받는 선거’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과 파면이라는 헌정사적 사건 이후 치러지는 이 선거에서 전북 유권자들은 단순한 정권 교체를 넘어 지역 균형 발전, 농생명 중심 전략, 교육·의료 공공성 회복이라는 실질적 정책의제를 기준으로 후보들을 면밀히 평가한 것으로 보인다.
전북특별자치도가 이번 사전투표에서 특히 높은 참여율을 보인 배경에는 몇 가지 요인이 맞물려 있다.
먼저, 지역 내 각계각층에서 이재명 후보에 대한 공개 지지 의사를 밝히는 흐름이 확대되면서 유권자들의 정치적 열기를 자극했다.
농업 단체, 체육계, 청년 조직을 중심으로 한 공개 선언은 조직적 동원이라기보다는 ‘정책 공감에 기반한 자발적 참여’라는 평가가 많다.
또한, 윤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전북에서의 보수 정당에 대한 신뢰도가 급격히 저하되면서 유권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미래 정치의 방향타를 선택하려는 의지를 보였다는 해석도 제기된다.
특히 청년층과 60대 이상 고령층 모두에서 투표소를 찾은 비율이 고르게 나타났다는 점에서 특정 세대에 국한되지 않은 ‘보편적 민심의 분출’이라는 진단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정치현안 분석에 정통한 지역 연구자는 “전북 유권자들은 이제 정당보다는 인물과 정책을 중심으로 판단하려는 경향이 두드러진다”며 “이번 대선은 지역 정치 지형의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6월 3일, 전북 도민은 또 한 번의 선택 앞에 서 있다. 이번 선택은 단순히 대통령을 뽑는 절차를 넘어, 전북특별자치도가 그리는 미래의 윤곽을 결정짓는 분기점이 될 가능성이 크다.
높은 사전투표율로 응답한 전북특별자치도 민심이 본투표에서도 그 흐름을 이어갈지, 이제 유권자들의 조용한 결단만이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