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7일, 서울메트로 정수영 안전관리본부장이 지하철 4호선 관련 사고 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황진원 기자]
(뉴스투데이=황진원 기자) 연초부터 지하철 사고에 대한 잡음이 끊이질 않고 있다.
하루가 멀다 하고 발생하는 지하철 사고에 ‘지하철 안전불감증’이라는 말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를 정도다.
지난 6일, 한성대와 성신여대입구를 지나던 지하철 4호선 전동차가 갑자기 멈춰 승객 800여 명이 대피하고, 이 과정에서 승객 10여 명이 부상을 당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9일에는 1호선 청량리역으로 들어오던 서동탄행 전동차의 고장으로 열차 운행이 20여 분간 지연돼 승객들이 불편을 겪는 상황도 발생했다. 올해만 벌써 두 번째다.
서울메트로 측은 전동차 부품의 노후화가 원인이며, 사고 방지를 위해 문제가 발생한 부품을 오는 6월까지 교체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지만, 이는 지하철 사고가 발생하는 족족 나오고 있는 해명이다.
서울메트로의 전동차 및 부품 노후화 문제는 이미 오래전부터 제기돼왔다.
지난 2014년 5월 발생한 2호선 전동차 추돌사고 직후 서울시와 메트로 측은 오는 2022년까지 노후된 전동차와 부품 등을 교체해 지하철 안전불감증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같은 원인으로 발생하는 지하철 사고들로 보아 이 같은 방침은 해결이 아닌 수습에 불과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결국, 지하철 사고에 대한 문제 해결은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지 못한 채 시간이 해결해주길 믿고 기다리는 꼴이 돼버렸다.
지난 7일 서울메트로는 4호선 열차 사고 공식 브리핑에서 서울메트로 정수영 안전관리본부장은 “사고로 인해 발생한 부품 문제로 안내방송이 불가능해 기관사가 직접 객실을 돌며 상황을 설명하려 했지만, 일부 승객들이 비상코크를 열고 전동차 밖으로 나가 이를 통제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렸다”고 전했다.
이어서, 전동차 사고시 가장 안전한 방법은 전동차 내에 대기하며 기관사의 안내에 따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어느 누가 그 상황에서 전동차 내에 기다릴 수 있었을까?
세월호사건 이후, 나 또한 대형 참사의 희생자가 되는건 아닐까라는 두려움에 비상코크를 수동으로 열고 대피한 승객들의 행동은 결국 대한민국의 안전불감증이 만든 씁쓸한 현 주소일 뿐이다.
서울시와 서울메트로는 더 이상 소잃고 외양간 고치는 식의 문제 해결이 아닌 근본적인 대책과 사고에 대한 적절한 대처 매뉴얼을 빠른 시일 내에 확립시켜 더 이상의 사고를 막는데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 뉴스투데이 & m.news2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