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대출’ 상환 임박···청구서 앞둔 은행권 긴장감

유한일 기자 입력 : 2023.05.07 06:30 ㅣ 수정 : 2023.05.07 06:3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서울시내 한 시중은행 대출 창구. / 연합뉴스

 

[뉴스투데이=유한일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중소기업의 경제적 지원 차원에서 실시한 대출 상환 유예 조치가 오는 9월 끝나면서 은행권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고금리 국면 장기화로 연체율 상승이나 부실채권 증가 등이 가시화된 상황에 소상공인·중소기업 대출 상환 도래에 따른 ‘코로나 청구서’까지 날아올 경우 은행권 건전성 악화가 심화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3월 말 기준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 등 5대 시중은행에서 만기 연장·상환 유예된 대출 잔액은 약 37조6158억원으로 집계됐다. 

 

세부적으로 보면 만기가 연장된 대출 잔액이 36조1845억원으로 전체의 약 96%를 차지했다. 대출 상환을 유예해 준 건 1조4313억원 수준이다. 이 조치를 적용받은 차주만 총 16만8994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2020년 4월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등이 보유한 대출의 만기 연장 및 상환 유예 조치를 시작했는데, 지금까지 총 5차례나 연장됐다. 준비되지 않은 시점에 지원 조치를 종료할 경우 취약 차주들의 채무 불이행이 늘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9월 소상공인·중소기업 대출 만기 연장 조치를 오는 2025년 9월까지 3년 연장했다. 다만 상환 유예의 경우 연장 기간이 1년으로 정해져 오는 9월 종료된다. 10월부터는 차주들이 정상적으로 대출을 갚아야 한다. 

 

문제는 이들 모두가 정상적으로 유예된 대출을 상환할 수 있을지 미지수라는 점이다. 회수 과정에서 상환이 어려운 대출이 발견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3년 넘게 수면 아래 잠들어 있는 잠재 부실 리스크가 터질 것이란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실제 지난해 9월 기준 5대 시중은행의 대출 만기 연장·상환 유예된 대출 잔액은 약 45조348억원이었는데, 6개월이 지난 올 3월(약 37조6158억원)까지 약 7조4190억원 감소하는데 그쳤다. 금융 지원 그늘 아래 대부분 차주가 대출을 갚지 않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한 시중은행의 관계자는 “원래 프로세스대로라면 대출 기간을 늘리고 싶은 시점을 기준으로  신용도나 상환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연장해줘야 하는데, 코로나 지원은 이게 제한적이었다”며 “현재 이들의 경영 상태가 어떤지 면밀히 보지 못하는 상황에 상환이 시작되기 때문에 우려가 나오는 것”이라고 말했다. 

 

본격적으로 ‘코로나 청구서’가 날아오면 은행권 건전성 악화 우려는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지난해 기준금리 인상 등에 따른 시장금리 상승 영향으로 연체율은 오르고 있고, 부실채권도 증가하고 있다. 

 

5대 시중은행의 올 1분기 연체율 평균은 0.27%로 전년동기(0.20%) 대비 0.07%포인트(p) 상승했다. 3개월 이상 연체돼 회수가 어렵다고 간주되는 부실채권인 고정이하여신(NPL) 비율도 같은 기간 0.23%에서 0.26%로 0.03%p 늘었다. 

 

은행권의 한 관계자는 “연체율은 전체 여신에서 연체된 대출의 비율인데, 대출 취급이 갈수록 감소하면서 분모(전체 여신)가 작아져 연체율이 오르는 영향도 있다”며 “은행이 건전성 관리를 하는 건 다른 고객들에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한 것인 만큼 앞으로도 리스크 관리에 집중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댓글(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주요기업 채용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