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 Pick] 한화호텔, 아워홈 인수전 'D-Day'...구지은, 지분 지킬까
한화 vs 구지은 전 부회장 경영권 인수 경쟁
한화, 유상증자도 고려...구지은, 우선매수권 반격
인수대금 내는 '한화비전'..."단체급식 연관성 낮아"

[뉴스투데이=서민지 기자] 한화호텔앤드리조트가 아워홈 인수에 광폭 행보를 보이고 있다. 아워홈 매각을 찬성하는 입장인 구본성 전 부회장과 구미현 회장은 물론, 이에 반대하는 구지은 전 부회장과 차녀 구명진 씨의 지분까지도 전부 사들이려는 모습이다.
구지은 전 부회장과 구명진 씨의 지분 향방이 쟁점인 가운데, 구 전 부회장이 아워홈 지분과 경영권을 지킬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또 한화는 인수 자금을 대기 위해 한화비전까지 끌어온 만큼, 향후 사업 연관성도 풀어야 할 숙제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그룹은 인수에 찬성하는 장남 구본성 전 아워홈 부회장(38.56%)과 장녀 구미현 회장(19.28%)의 지분 57.84%를 먼저 인수하기 위해 협상 중이다. 한화는 주당 6만5000원, 총 8600억원을 인수가로 제안했다.
한화는 그간 매각에 반대 입장을 밝혀 온 구지은 전 부회장 측을 끝까지 설득할 방침이다. 구 전 부회장(20.67%)과 차녀 구명진 씨(19.6%)에게 지분 40.3% 동반 매각을 제안했다. 구 전 부회장의 답변 기한은 23일이다.

구지은 전 부회장은 이번 답변에서도 매각 반대 입장을 고수할 것으로 예상된다. 구 전 부회장은 어펄마캐피탈 등 재무적 투자자와 손잡고 우선매수권을 행사해 지분을 사들이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아워홈 정관에 따르면 주식을 양도할 경우 양도자는 주주 명부상 주주에게 먼저 각 주주의 주식 비율에 따라 양도해야 한다. 일부 주주가 주식인수를 포기하면 잔여 주주에게 주식 비율에 따라 양도해야 한다. 구지은 전 부회장은 이를 근거로 법원에 주식처분금치 가처분 신청까지도 낼 전망이다.
안희철 법무법인 디엘지 변호사는 <뉴스투데이>와 통화에서 "구지은 전 부회장이 우선매수권을 가진다면 구본성 전 부회장과 구미현 회장 등은 지분 거래에 제한이 생긴다"며 "이 상태에서 최후의 보루로 주식처분금지 가처분 신청까지 낸다면 구본성·구미현 연합이 함부로 거래하지 못하도록 법의 도움을 받을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한화는 구지은 전 부회장이 매각에 끝까지 반대할 가능성을 고려해 유상증자까지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화가 유상증자를 실행하면 구지은 전 부회장의 지분을 얻지 못해도 구 전 부회장의 지분을 희석할 수 있다. 아워홈 정관에 따르면 유상증자는 특별 결의 사안이라 구지은 전 부회장 측의 동의가 필요하지 않다.
또 구지은 전 부회장이 자금을 조달해 우선매수권을 행사하더라도 구미현 회장 측근으로 구성된 이사회 결의를 통과해야 한다. 이 경우 법적 분쟁으로 번질 가능성도 점쳐진다.
아워홈 관계자는 <뉴스투데이>에 "그간 구지은 전 부회장은 매각 반대 입장을 밝혀온 것으로 알고 있다"며 "구 전 부회장이 지분 매각 금지 가처분 신청을 하면 법원에서 어떻게 나올지 등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인수는 김동선 한화갤러리아·호텔앤드리조트 미래총괄비전 부사장이 주도하고 있다. 이를 두고 업계에선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아워홈 지분 인수가 진행된다면 자금 조달처인 보안기술 업체 한화비전은 보유한 현금 2794억원을 대부분 내놔야 한다. 김 부사장은 비상장 계열사 한화호텔과 코스피 상장사인 한화비전에서 각각 2000∼3000억원을 끌어올 예정이다. 나머지는 상장을 조건으로 재무적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게다가 한화비전과 아워홈의 단체급식 사업간 연관성이 크지 않아, 한화비전이 투자 대비 이득을 볼 가능성은 적다. 주주들이 인수 비용을 부담하지만 지배주주인 총수만 이득을 보는 셈이다.
BEST 뉴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