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

검색
https://m.news2day.co.kr/article/20250514500245

신입사원 10명 중 6명, 3년 이내 조기퇴사…그 이유는?

글자확대 글자축소
박진영 기자
입력 : 2025.05.14 18:07 ㅣ 수정 : 2025.05.14 18:07

신입사원 1명 채용 비용 '50만원 이하' VS '300만원 초과'…기업별 격차 커
인사 담당자가 꼽은 신입사원 조기 퇴사 이유 1위 '직무 적합성 불일치'
10명 중 8명, "신입사원의 조기 퇴사, 조직 분위기에 부정적 영향 준다"

image
우리나라 기업의 신입사원 조기 퇴사 비율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사진=freepik]

 

[뉴스투데이=박진영 기자] 국내 기업의 60.9%는 신입 사원이 입사 1~3년 내 퇴사하는 '조기 퇴사'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HR테크기업 인크루트(대표 서미영)가 인사 담당자 446명을 대상으로 신입사원 조기 퇴사에 관해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먼저 신입사원 1명 기준으로 채용부터 실무 투입까지 전 과정의 채용 비용을 물었다. 1위는 '50만원 이하'(35.9%), 2위는 '300만원 초과'(21.5%)였다. 이는 기업마다 채용 비용의 격차가 크다는 것으로 분석된다. 다음으로 '50~100만원'(17.5%), '200~300만원'(12.6%), '100~200만원'(12.6%) 순이었다.

 

조기 퇴사한 신입사원의 평균 근속 기간은 1~3년이 60.9%로 가장 많았다. '4개월~1년 미만'은 32.9%, '3개월 이하'는 6.3%로 나타났다.

 

인사 담당자들이 생각하는 신입사원의 조기 퇴사 이유 1위는 '직무 적합성 불일치'(58.9%, 복수 응답)로 나타났다. 2위는 42.5%로 '낮은 연봉', 3위는 26.6%로 '맞지 않은 사내 문화'의 이유를 꼽았다. 그 외 '상사‧동료 인간 관계'(23.4%), '워라밸 부족'(17.1%), '기타'(7.7%) 순이었다.

 

image
인크루트가 인사담당자 44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조기 퇴사한 신입사원의 평균 근속 기간은 1~3년이 60.9%로 가장 많았다. [사진=인크루트]

 

인크루트는 신입사원의 조기 퇴사가 조직의 분위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지 물었다. 80.5%가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19.5%가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영향을 준다고 응답한 이유로는 '시간과 자원의 비효율성'(37.6%)을 가장 많이 답했다. 다음으로 32.0%를 차지한 '재직자들의 업무 부담 상승'의 이유를 꼽았다. 또 '조직 문화‧팀워크의 약화'(15.9%), '재직자의 퇴사율 상승'(13.9%), '기타'(0.6%) 순이었다.

 

그렇다면 기업에서는 신입사원의 조기 퇴사를 방지하기 위해 어떤 노력들을 하고 있을까. 인사 담당자의 34.5%만이 '신입사원의 조기 퇴사 방지할 수 있는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신입사원의 조기 퇴사 문제가 주목받고 있지만, 실제 이를 해결하려는 기업들의 노력은 아직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신입사원의 조기 퇴사를 방지하기 위해 운영 중인 프로그램 종류로는 '장려금‧포상 휴가 지급'(52.6%, 복수응답), '멘토링 제도 운영'(38.3%), '온보딩 프로그램 운영'(37.0%) 등으로 나타났다.

 

인크루트는 이번 설문조사를 지난달 4일부터 16일까지 시행했으면, 신뢰 수준 95%에 표본오차는 ±4.43%P이다. 

 

© 뉴스투데이 & m.news2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JOB 많이 본 기사

  1. 1 [한화생명이 일하는 법] 최초의 외국인 공채 바니아의 '리얼 적응' 소개, '글로벌 금융기관' 진화를 겨냥
  1. 2 [2025 KPC 인문학여행] 서희태 지휘자의 인문학 강연, 예술과 삶을 잇다..."오페라는 시대를 말한다”
  1. 3 [지금 일본에선(812)] 에어컨 실외기 절도 급증에 일본 사회 발칵
  1. 4 [직장 돋보기 분석] CJ ENM, 평균연봉 9000만원인 'K콘텐츠 대표 글로벌 플랫폼'...윤상현의 '실적'과 '비전'은?
  1. 5 [직장 돋보기 분석] 태광산업, 평균연봉 8000만원인 국내 대표 섬유화학 기업...흑자전환과 MZ파워 주목돼
네이버 블로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이메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