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 개선, 완전 정착까지 수년 소요…해당 기간 수익 극대화 가능"<NH투자證>

[뉴스투데이=임종우 기자] NH투자증권은 배당제도 개선안의 완전한 정착까지 수 년이 걸릴 것이라며, 개선 적용 여부에 따른 투자로 배당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김동양 NH투자증권 연구원은 14일 보고서를 내고 "올해 기말 배당부터 '선(先) 배당액·후(後) 기준일'로 개선되는 배당제도가 본격적으로 적용될 예정"이라며 "이를 위해 법규를 개정하고 기업의 정관이 변경된 뒤 실질적으로 적용하는 절차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중간·결산 배당을 규제하는 상법은 법무부 유권해석을 통해 해소했다"며 "분기 배당을 규제하는 자본시장법 개정안은 국회에 계류 중"이라고 덧붙였다.
기존 정관을 활용하거나, 올해 정기 주주총회 정관 변경을 통해 올해 기말배당부터 개선된 배당제도가 적용될 수 있는 기업은 전체 상장사의 약 28% 수준인 636개사다.
김 연구원은 "당분간 배당제도 개선을 적용한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간의 상이한 배당기준일 등 혼란은 불가피할 것"이라며 "배당기준일에 대한 혼란을 방지하고자 한국상장회사협의회 및 코스닥협회가 통합 안내 페이지를 구축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지난 10월 기업지배구조보고서 가이드라인이 개정되면서 기업지배구조보고서 공시의 15개 핵심지표 중 '배당제도 개선'이 신설됐다.
김 연구원은 "배당제도 개선 적용 기업은 핵심지표 준수율이 상승한다"며 "이는 한국ESG기준원(KCGS)를 비롯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 기관의 'G'(지배구조) 평가지표로도 활용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기업 정관변경과 선택 절차상 배당제도 개선이 전면 적용되기까지는 수 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 연구원은 "소요 기간 투자자는 기존대로 배당 지급 기업과 배당제도 개선 적용 기업에 투자 시차를 둬 배당수입을 극대화할 수 있다"며 "통합 안내 페이지의 원활한 구동 전까지는 이달 중순 주주명부폐쇄 공시 여부에 따라 기업의 배당제도 개선 여부를 대략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