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국면 속 뜨거운 '임금' 논쟁…기업 연봉 전략도 변화할까

[뉴스투데이=이가민 기자] 2025년 대선 국면이 본격화되면서 노동시장에 대한 논의도 뜨거워지고 있다. 특히 올해 대선에서는 노동시간과 더불어 ‘임금’이 새로운 핵심 쟁점으로 부상했다. 임금 격차 해소와 공정한 보상 체계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커지면서, 정치권도 이에 대한 해법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포괄임금제 금지와 동일노동 동일임금 실현을,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성과 중심의 임금체계 개편과 대기업 신입 공채 장려를 주요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다. 지난 대선이 노동시간 단축에 초점을 맞췄다면, 이번에는 임금 구조와 공정성에 대한 정책 논의가 중심이 되는 분위기다.
이 같은 변화는 근로자뿐 아니라 기업의 연봉 설계 및 보상 전략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와 관련 취업 플랫폼 잡플래닛이 30일 자체 인증 연봉 데이터를 기반으로 국내 노동시장의 직무·산업 간 보상 격차와 구조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해 눈길을 끌고 있다.
잡플래닛 분석에 따르면 산업군 간 연봉 격차는 뚜렷하게 나타났다. 가장 높은 중위 연봉을 기록한 산업은 은행·금융업이었으며, 그 뒤를 제조·화학, IT/웹/통신 업종이 이었다. 반면, 교육업과 서비스업은 하위권에 머물렀다. 은행·금융업과 교육업 간 중위 연봉 차이는 1400만원 이상으로 확인됐다.
직무별로는 연구개발(R&D) 및 IT 개발 직무가 가장 높은 중위 연봉을 기록했다. 이에 비해 교육, 고객지원·서비스, 특수계층·공공 직무는 1000만원 가까운 차이를 보이며 낮은 연봉을 기록했다. 디지털·기술 기반 직무의 보상은 빠르게 상승하는 반면, 사람 중심 서비스 직무는 정체된 보상 수준을 보이며 구조적 격차가 드러났다.
연차에 따른 연봉 상승 흐름도 분석됐다. 1년차부터 10년차까지 매년 약 4~5%씩 중위 연봉이 꾸준하게 인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들이 성과급 등 유연한 보상 체계를 도입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연공서열 중심의 보상 구조가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김지예 잡플래닛 최고운영책임자(COO)는 “고객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연봉 데이터도 주로 직무와 산업에 따른 차이에 집중되어 있는 점을 보면 현장에서는 체감하고 있다는 이야기”라며, “임금이 주요 대선 의제로 떠오른 지금, 기업은 객관적인 데이터를 통해 거시적인 관점에서 내부 연봉 전략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