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무브' 발맞춰 수신금리 높이는 상호금융…수신경쟁 가능성은 '미지수'
예금자보호한도 상향에 상호금융 수신규모 증가 전망
일부 지역 조합서 4%대 적금금리도…시중은행과 격차
당국, 건전성 모니터링 강화…수신경쟁 과열 우려 제기
"이자부담·대출수요 감안하면 과도한 수신경쟁 없을 것"

[뉴스투데이=김태규 기자] 예금보호한도 규모가 확대될 예정인 가운데 상호금융권에 자금이 몰리는 모양새다. 금융당국은 상호금융의 과도한 수신경쟁을 우려하고 있지만, 상호금융업계는 수신경쟁이 과열될 가능성이 적은 것으로 보고 있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9월 예금자보호한도가 기존 5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확대된다. 이에 따라 상호금융권에 자금이 몰릴 가능성이 제기된다.
상호금융권은 시중은행에 비해 높은 금리를 제공하며 수신 규모를 확대하고 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12개월 정기예금 금리는 2.15~2.58%로 2%대 초중반을 나타내고 있다. 12개월 만기 정기적금(자유적립식)의 경우 1.80~2.60%로 1%대의 상품도 있다.
또 전일 기준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12개월 정기예금 평균 금리는 2.97%로 3%에 미치지 못한다. 12년 정기적금 금리는 3.38%로 연초 대비 0.06%포인트(p) 축소되기도 했다.
하지만 상호금융권은 이보다 높은 금리를 제공하며 자금을 쓸어담고 있다. 일부 지역조합에서는 4%가 넘는 금리를 제공하기도 한다.
천안신협의 'e-파란적금(비대면)'은 4.30%의 기본금리를, 서울행복신협은 4.20%를 제공한다. 최고금리는 각각 4.63%, 4.80%다. 이촌새마을금고의 경우 MG더뱅킹정기적금에 기본금리 4.00%, 최고금리 4.50%를 적용했다.
상호금융이 이처럼 시중은행, 저축은행에 디해 높은 금리를 제공하며 자금을 모으는 가운데 예금자보호한도가 상향되면 수신 규모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새마을금고·신협·농협·수협·산림조합 등 상호금융권의 1분기말 수신잔액(말잔)은 917조8040억원으로 전분기 말에 비해 12조7630억원 확대됐다. 이는 사상 최대치다.
반면 저축은행의 경우 지난해말 102조2204억원에서 1분기말 99조5873억원으로 2조6331억원의 자금이 이탈했다.
저축은행권은 예금자보호한도가 확대되더라도 건전성 관리, 조달부담 등을 이유로 공격적인 금리 인상이 어려운 상황이다. 때문에 상호금융이 반사이익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상호금융 역시 연체율이 악화되는 상황이어서 건전성 관리가 필요하다. 상호금융의 연체율은 4.54%로 전년 대비 1.57%p 악화됐다. 또 상호금융권의 부동산PF 유의·부실우려 사업장 규모는 9조2000억원 규모에 달한다.
이 같은 상황에서 고금리 경쟁에 불이 붙으면 수익성과 건전성이 모두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부동산PF 대출 부실로 연체율과 건전성이 나빠지는 가운데 고금리를 제공하게 되면 이자부담이 커질 수 있는 것이다.
금융당국도 예금자보호한도 상향을 앞두고 상호금융권의 과도한 수신 경쟁을 막기 위해 모니터링한다는 계획이다. 또 유동성·건전성 취약 단위조합을 집중 점검하는 등 리스크 관리를 강화할 방침이다.
권대영 금융위원회 사무처장은 지난달 28일 '제1차 상호금융정책협의회'에서 "과도한 수신경쟁은 금리왜곡과 건전성 악화라는 또다른 리스크를 초래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다"면서 "고금리 경쟁을 통한 외형 성장보다 중요한 것은 건전한 자금운용과 신뢰의 회복"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개별 조합이 단기 수신경쟁에 매몰되지 않도록 잘 관리하는 동시에 적극적인 부실채권 정리, 연체율 관리 등 강도 높은 자구노력을 차질 없이 이행해 달라"고 각 조합 중앙회에 당부했다.
다만 상호금융권에서는 과도한 수신경쟁이 발생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높은 이자를 제공하는 부담과 함께 확보된 수신자금을 운용해야 하는 부담이 생겨 상황을 살펴야 한다는 것이다.
상호금융업계의 한 관계자는 <뉴스투데이>와의 통화에서 "부동산 시장이 활황이라거나 투자하기 좋은 경제환경이라면 수신규모를 확대해 대출 취급을 늘려야 하겠지만, 현재 경기는 수요가 많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상호금융업계의 다른 관계자도 "대출수요가 많은 환경이라면 과도한 수신경쟁이 일어날 수도 있겠지만, 현재의 시장 상황에서 수요가 크게 늘어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새 정부가 주식시장을 활성화한다고 하는 점은 예탁금 이탈 요인"이라며 "소비자가 상호금융기관에 대한 안정성을 어떻게 판단할지도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BEST 뉴스
댓글(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