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투데이

검색
https://m.news2day.co.kr/article/20220221500285

“한미약품, NASH 치료제와 벨바라페닙의 가치 상승 기대”

글자확대 글자축소
장원수 기자
입력 : 2022.02.21 17:10 ㅣ 수정 : 2022.02.21 17:10

북경한미의 고성장세 유지가 관건

[뉴스투데이=장원수 기자] 교보증권은 21일 한미약품에 대해 연구개발(R&D) 중심의 제약사라고 전했다.

 

김정현 교보증권 연구원은 “한미약품의 연결 매출은 한미약품(개별) 73%, 북경한미 21%, 한미정밀 6%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업이익은 각각 53%, 50%, -3%를 차지하고 있다”며 “한미약품은 R&D 중심의 제약사로 R&D 파이프라인 가치 변화가 중요하다”고 밝혔다.

 

image

김정현 연구원은 “한미약품 주가의 중요 변수는 HM15211 등 비알코올성지방간염(NASH) 치료제 2022년 내 2B상 결과 발표, 흑색종 치료제로 개발될 벨바라페닙(Belvarafenib)의 임상 진행, 현재 Spectrum이 개발 중이며 FDA 승인을 목전에 둔 Poziotinib/Rolontis의 실제 매출 추이”라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한미약품의 주요 R&D 이벤트 중 2022년 내 HM15211 등 NASH 치료제 2상 결과 발표, 흑색종 치료제로 개발될 Belvarafenib의 임상 진행 등이 중요할 것”이라며 “특히 HM15211은 Triple Agonist로 2상을 통해 지방간 감소 효과를 평가받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아직 승인된 NASH 치료제가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Placebo 대비 통계적 유의성을 입증하면 되는 상황”이라며 “Belvarafenib의 경우 Roche와 1조원(계약금 1000억 원) 규모의 기술 이전 계약을 맺은 물질로 Roche가 정밀 의학 2상(TAPISTRY)에 추가하며 본격적인 개발 의지를 알렸다”고 언급했다.

 

이어 “흑색종의 경우 표적 치료제보다 여보이(Yervoy) 및 옵디보(Opdivo)와 같은 면역항암제의 효능을 넘어서야 상업적인 기대감이 높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한미약품의 향후 실적은 북경한미유한공사의 실적 성장세가 유지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며 “특히 유아용 진해거담제의/정장제의 판매 증가 추세 지속 여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한미약품(개별)에서도 아모잘탄/로수젯/에소메졸 등 개량복합신약의 매출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우호적인 영업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전망했다.

 

 

jang7445@news2day.co.kr
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뉴스투데이 & m.news2d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생활경제 많이 본 기사

  1. 1 [신상NEWS] CU ‘피스마이너스원 하이볼’·스텔라 아르투아 ‘고메 챌리스 셰프 에디션’
  1. 2 CJ ENM, 1분기 영업익 7억…TV광고 시장 위축 심화에 전년비 94.3%↓
  1. 3 [N2 생활경제] 파리바게뜨, '토트넘 훗스퍼 포토볼' 사전 예약...BBQ, 공공 배달앱 '땡겨요'와 할인 행사
  1. 4 [주말쇼핑정보] 이마트 ‘고래잇 페스타’·롯데마트 ‘5! 해피딜’·홈플러스 ‘MEGA 골든위크’
  1. 5 고물가에 할인 챙기자…스타벅스 ‘디카페인 음료 50%’‧롯데리아 ‘데리버거 32%’ 할인
네이버 블로그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유튜브 이메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