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종헌 의원 "첨단재생의료 영역 확장 필요"

김태형 기자 입력 : 2025.04.22 18:46 ㅣ 수정 : 2025.04.22 18:46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부산/뉴스투데이=김태형 기자] 지난 2월 개정된 첨단재생의료법으로 중대·난치 질환에 국한됐던 임상 연구 범위가 전체 질환으로 확대됐지만 여전히 치료 중심은 난치병에 머물러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항노화·미용 등 비교적 저위험 분야로의 치료 영역 확장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백종헌 국민의힘 의원실에 따르면 올해 첨단재생의료 관련 예산은 전년 대비 증가한 784억5000만원이 편성됐다. 

 

다만 실제 기업들의 임상연구는 대부분 고위험 난치 질환에 집중돼 있으며, 항노화 치료제를 개발한 사례는 아직 없다.

 

현행법상 임상연구를 통해 효과가 입증되면 최대 5년간 치료에 활용할 수 있지만 비교적 수익성이 낮은 노인성 질환 등은 기업 입장에서 진입 장벽이 여전히 높다. 일본은 이미 관절염, 노화 치료 등에 재생의료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업계는 세부 법령 보완의 필요성도 제기하고 있다. 임상 데이터(RWD)를 신약허가에 활용할 수 있게 됐지만, 실제 절차와 활용 방식은 불투명하다는 지적이다. 또한 전국 재생의료기관은 125곳에 불과해 접근성 문제도 여전하다.

 

백종헌 의원은 "예산 확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재생의료가 난치병 중심에 머물러 있다"며 "복지부와 협력해 법령을 정비하고 임상 데이터를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BEST 뉴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주요기업 채용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