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눈] 서거석 교육감 흔들려도, 전북교육은 흔들리지 않아야 한다

구윤철 기자 입력 : 2025.04.23 10:56 ㅣ 수정 : 2025.04.23 10:56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서거석 교육감을 둘러싼 논란에도 불구하고 전북교육의 정책 연속성과 행정 안정성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  [사진=전북특별자치도 교육청 제공]

 

[전북/뉴스투데이=구윤철 기자]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의 핵심 정책이 중요한 전환점에 놓여 있는 가운데, 서거석 교육감의 리더십과 정책 추진력이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서거석 교육감을 둘러싼 일련의 사법적 이슈가 공론화되면서 교육 행정의 안정성과 방향성에 대한 논의가 확산되고 있지만, 서거석 교육감 체제 하에서 추진돼 온 전북교육의 구조적 개혁 과제들은 여전히 현장에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서거석 교육감은 지난 2년간 '학생 중심 미래교육'을 핵심 비전으로 삼아 기초학력 신장, 독서·인문 교육 강화, 학생자치 확대, 진로·진학 체계 개편 등 교육 전반의 체질 개선을 주도해 왔다.

 

특히 서거석 교육감은 전북학생의회 신설과 같은 학생 참여 기반 정책을 통해 교육 행정의 수직 구조를 수평적으로 바꾸는 데 주력해 왔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와 함께 서거석 교육감은 교권 보호와 학생 인권 사이의 균형점을 찾는 제도 정비에도 집중해왔다.

 

하지만 최근 서거석 교육감을 둘러싼 법적 상황이 복잡해지면서, 일부 시민단체와 정치권에서는 교육감의 책임론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대해 교육계 내부에서는 서거석 교육감 개인의 사법 절차와 전북교육청의 정책 집행은 분리해 바라볼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서거석 교육감 체제에서 축적된 행정 경험과 정책 실행 역량이 단기간의 논란으로 무력화되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다.

 

도교육청 관계자 역시 “지금 추진 중인 교육정책 상당수가 서거석 교육감이 직접 기획하거나 수정한 안”이라며, “정책적 연속성을 지키는 것이 교육 수요자인 학생과 교사들에게 훨씬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서거석 교육감이 강조해온 '실행 중심의 정책 구조'는 도내 다수의 학교 현장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고 있으며 일선 교사들도 서거석 교육감의 정책 방향이 현장의 현실과 맞닿아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서거석 교육감을 향한 법적 논란은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며 그 결과는 사법부의 판단에 맡겨야 할 사안이다.

 

중요한 것은 이와 별개로 서거석 교육감이 설계한 교육정책의 방향과 성과가 감정적 논쟁이나 정치적 셈법에 의해 좌초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정책은 사람을 넘어서야 하고, 교육은 정치의 바깥에 있어야 한다.

 

서거석 교육감이 구축해온 정책 프레임은 특정 인물의 공과를 넘어 도민의 신뢰와 참여 속에서 완성되어야 하며 지금 우리 사회가 붙들어야 할 중심은 서거석 교육감의 개인적 상황이 아니라 전북교육의 미래다.

 

서거석 교육감이 흔들리더라도, 전북교육은 흔들리지 않아야 한다. 정책의 연속성과 행정의 책임, 그리고 학생의 배움은 정권도, 여론도 아닌 시간과 실천으로 평가받는다.

 

지금 우리가 논의해야 할 것은 서거석이라는 이름이 아니라 그 이름 아래 추진되어온 교육의 방향이 올바른가 하는 질문이다.

 

BEST 뉴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주요기업 채용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