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대선공약 과제 제안…3대 분야 32개 사업

김태형 기자 입력 : 2025.04.21 17:55 ㅣ 수정 : 2025.04.21 17:55

140조 규모…"이번 대선, 지역균형발전 패러다임 전환점"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이준승 부산광역시 행정부시장이 21일 오후 2시 부산광역시청 9층 브리핑룸에서 '제21대 대통령 선거 부산 지역공약 제안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김태형 기자]

 

[부산/뉴스투데이=김태형 기자] 부산시(시장 박형준)가 조기 대선 상황을 부산의 새로운 발전 전기 마련과 현안 해결의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각 정당과 후보자에게 제안할 대선공약을 선정·발표했다. 제21대 대선공약 과제는 총 3대 분야 32개 사업이며 총사업비는 140조원 규모다.

 

21일 시에 따르면, 조기 대선이 확정되며 제21대 대통령 선거(6월3일)가 두 달도 채 남지 않았다. 시는 이번 대선을 부산의 미래를 획기적으로 앞당기고 지역균형발전이라는 국가발전 패러다임의 전환점으로 삼고자 대선 공약과제 발굴에 착수했다.

 

시는 대선공약 과제의 3대 분야로 △허브 기반(인프라) 구축 △혁신산업 주도성장 △살고 싶은 정주기반으로 정했다. 부산이 가진 글로벌 허브도시로서의 경쟁력을 극대화하고 시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주요 정책을 부산지역 공약으로 제안했다는 설명이다.

 

우선 허브 기반(인프라) 구축 분야에는 △가덕 메가커넥트 프로젝트(3조8000억원) △부산 게이트웨이 시티(32조4000억원) △케이(K)-북극항로 트라이포트 물류 허브도시(21조6000억원)가 포함됐다. 시는 "가덕도신공항의 성공적인 개항을 넘어 대한민국 제2의 허브공항으로서의 위상을 선제적으로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다음으로 혁신산업 주도성장 분야에는 △인공지능(AI)·양자산업 남부권 거점(4조4000억원) △글로벌 대표 금융‧창업 중심지(2조1000억원) △남부권 미래 모빌리티 선도도시(10조9000억원)가 포함됐다. 전 세계가 AI 패권 경쟁에 돌입한 가운데 부산이 AI를 다양한 산업에 융합하고 고도화해 나갈 수 있는 남부권 최적의 도시라는 게 시의 설명이다.

 

살고 싶은 정주기반 분야에는 △케이(K)-콘텐츠·관광중심도시(1조원) △탄소중립친환경도시(4조5000억원) △시니어휴양·치유도시(3조3000억원)가 포함됐다. 시는 그동안 부산이 축적해 온 영상·콘텐츠, 관광 산업 잠재력을 극대화하고 부산의 천혜의 환경을 시민들이 온전히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image
부산 발전 10대 핵심 대선공약. [사진=부산시]

 

특히 시는 실질적 균형발전을 끌어내고 '글로벌 허브도시 부산'으로의 도약을 위해 중요성과 상징성이 높은 10대 핵심 공약을 별도로 선정해 각 정당 후보자의 지역 공약 채택을 촉구하고 향후 새 정부 국정과제 반영에 총력을 다할 방침이다.

 

시는 또 남부권 성장거점 조성과 동반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약 29조원에 달하는 부·울·경 협력사업의 대선 공약화를 제안했으며 혁신 지방분권 실현을 위해 (가칭)인구지역균형발전부 신설, 지방분권형 헌법 개정 등 제도개선 과제도 발표했다.

 

시는 "이번에 제안한 부산지역 대선공약 과제가 각 정당 후보의 공약에 채택되고 나아가 새 정부의 국정과제에 반영되도록 지역 정치권, 시민사회 등과 함께 힘을 모아 적극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형준 시장은 "제21대 대통령선거는 부산과 대한민국의 새로운 미래가 걸린 중대한 전환점"이라며 "대한민국 대전환의 기회를 부산이 선도하기 위해 시가 제시한 이번 공약을 반드시 대선공약과 새 정부의 국정과제에 반영시키도록 끝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BEST 뉴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주요기업 채용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