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부산 이전, 해양산업 혁신 이끌 기폭제 될 것"
전문가들 "단순 행정 이전 아닌, 해양수도 실현 위한 제도적 기반" 강조

[부산/뉴스투데이=김태형 기자]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 공약이 단순한 행정기관 이동을 넘어 대한민국 해양산업 구조와 지역경제에 중대한 전환점을 만들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분석이 나왔다. 부산 지역 해양정책 전문가들은 해수부 이전이 현장 밀착형 정책 집행, 산업 클러스터 시너지, 지역 균형발전의 실질적 계기가 될 것이라며 "부산의 미래 100년을 좌우할 중대한 국정 과제"라고 강조했다.
강경태 신라대 국제관계학과 교수는 "해수부의 부산 이전은 단순한 물리적 이동을 넘어 해양산업 생태계와 정책 구조 자체에 깊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정책 결정자들이 산업 현장과 직접 소통할 수 있어 정책의 실효성과 실행력이 현저히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부산항만공사, 해양과학기술원 등 기존 공공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현장 중심 행정'이 가능해진다는 설명이다.
강 교수는 또 "부산이 글로벌 해운기업 본사, 해사전문법원, 해양 R&D센터 등을 유치할 기반이 되는 것은 물론, 산업·행정·법률·연구 기능의 집적이 산업혁신을 촉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를 통해 부산이 싱가포르, 상하이 등과 경쟁하는 동북아 해운 허브로 거듭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김태만 한국해양대학교 동아시아학과 교수는 "해수부 이전은 ‘해양수도 부산’의 정체성과 기능을 제도적으로 강화하는 상징적 조치"라며 "2026년 개항 150주년을 맞는 부산의 도시 비전을 실현할 인프라 조성의 핵심"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특히 해운·항만·조선·수산·해양바이오 등 연관 산업의 고도화를 이끌어 지역경제 재도약의 동력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또한 해수부 이전이 국제 해양외교의 거점화, 지역 청년 일자리 확대, 지방분권 실현 등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전망하면서도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선 몇 가지 보완과제가 선결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수도권 항만업계의 우려, 조직 문화 이전, 중앙부처와의 협업체계 마련, 공무원 이주 지원 등 종합적인 대책이 병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두 교수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은 해양산업의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고 국가 균형발전의 모범 사례가 될 수 있다"며 "이전 자체만이 아니라 관련 기관과 인프라, 인력, 권한이 함께 이전되는 구조적 접근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