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영일 순창군수, 군민 체감형 정책으로 주목...“지방소멸에 맞선 실천 행정”

박래성 기자 입력 : 2025.04.11 11:56 ㅣ 수정 : 2025.04.11 11:56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최영일 순창군수.  [사진=순창군 제공]

 

[전북/뉴스투데이=박래성 기자] 전북 순창군이 지방소멸 위기 속에서도 인구 순유입이라는 눈에 띄는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이 중심에는 실질적인 복지와 정주 여건 개선에 집중해 온 최영일 순창군수의 정책 기조가 자리한다.

 

최영일 군수는 취임 직후부터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를 핵심 군정 방향으로 설정했다. 아동행복수당과 대학생 생활비 지원, 청년 종자통장 등 세대별 지원책은 전국 군 단위 지자체 가운데 드물게 촘촘하게 설계돼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와 같은 정책은 실제로 청년과 신혼부부 등의 지역 정착률 향상에도 기여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2025년 군정의 방향은 ‘정주 기반의 실질 확대’다. 순창읍에 조성 중인 전원마을 500호 공급사업은 귀농·귀촌 수요를 반영한 실질적 대책으로, 수변 공간 개발과 체육복합센터 건립 등 문화·여가 인프라 확충도 동시에 추진되고 있다. 여기에 더해, 장류산업 특화, 치유농업 공간 조성 등 지역 자원을 활용한 산업 연계 정책도 본격화되고 있다.

 

최 군수는 ‘현장 밀착형 행정’을 강조하고 있다. 올해 초에는 한 달간 전 지역 마을을 직접 순회하며 군민 3,000여 명과 대화를 나눴으며, 그 과정에서 도출된 700건 이상의 건의사항을 군정에 반영 중이다. 특히 농로 정비, 대중교통 개편, 상수도 교체 등 생활 밀착형 과제가 우선 추진되고 있다.

 

국비 확보 전략에서도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군수는 중앙부처를 수차례 방문해 순창의 지역 맞춤형 사업들을 설명하고, 국가 예산 연계 방안을 제안해왔다. 이 결과로 확보된 예산은 청년주거단지 조성, 문화·관광 연계 개발 등 주요 지역 사업에 투입되고 있다.

 

순창군청 내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군정 운영 전반에서 최 군수는 일방적 지시보다는 실무자 의견을 중시하며, 행정의 실행력을 강조하는 리더십을 보여 왔다. 공약 이행률보다는 실현 가능한 계획과 단계별 실행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장기적 관점에서의 정책 지속성을 확보하고 있다는 평가다.

 

특히 최근 추진 중인 지방소멸대응기금 활용 전략에서는, 단순 예산 집행이 아닌 체계적인 로드맵 수립과 타 지자체 벤치마킹 분석을 병행하면서 전략적인 자원 활용 방식을 택하고 있다.

 

최영일 순창군수의 정책 기조는 변화보다는 기초 다지기, 속도보다는 정확한 이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행정 방향은 정책의 수치적 효과뿐만 아니라, 군민과 행정 간 신뢰 형성에도 기여하고 있다.

 

지방소멸과 초고령화라는 거대한 흐름 속에서, 순창군이 보여주고 있는 대응 전략은 향후 타 지자체에도 시사점을 줄 수 있는 행정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BEST 뉴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주요기업 채용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