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칼럼] 3년간 뒷다리 잡힌 유통·식음료 산업...새 정부 과제는?

이정석 기자 입력 : 2025.04.11 15:28 ㅣ 수정 : 2025.04.11 15:28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이정석 산업2부장

 

[뉴스투데이=이정석 산업2부장] 대한민국 경제의 뿌리가 흔들리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세계 경제는 회복세로 돌아섰지만, 윤석열 정부는 3년간 그 흐름을 역행했다.

 

특히 유통 산업과 식음료 수출 기업은 고환율과 내수 침체, 글로벌 신뢰 저하라는 삼중고에 시달리며 그야말로 '직격탄'을 맞았다.

 

윤 정부는 유통 산업 전반에 걸친 구조조정과 디지털 전환을 강조했지만, 현실은 정책의 방향성과 현장 간 괴리만 키웠다.

 

대형마트 의무휴업 해제 논의는 정치적 논쟁에 그쳤고, 소상공인과 전통시장에 대한 실질적 보호 장치는 부실했다.

 

그 결과 대형 유통사는 이익을 줄이며 몸을 사렸고, 벼랑 끝으로 내몰린 중소 유통업체는 폐업을 택했다. 실제 온라인 최강자 쿠팡은 매출은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줄어들었다. 오프라인 매장 수 역시 지난 3년간 18% 감소했으며, 일자리 감소 또한 피할 수 없었다.

 

‘K-푸드'는 한류 열풍에 힘입어 세계 무대를 장악해 나가고 있었다. 그러나 윤 정부의 외교 불안정성과 보호무역주의 대응 실패는 식음료 수출 기업에 치명타가 되고 있다.

 

미국, 중국, 러시아 등 주요 수출국과의 무역 마찰은 고조됐고, FTA 협상 지연 및 무역지원 축소는 중소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가로막았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작년 한 해 동안 국내 식음료 수출은 전년 대비 9.3%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JP모건 역시 최근 한국의 경제 성장률을 0.9%로 하향 조정했다. 국내 물가 상승도 이어져 가공식품 물가는 3.6%, 외식물가는 3.0% 상승했다.

 

지난 4월 4일, 민주주의를 다시 지켜낸 국민은 새 정부에 ‘회복과 반등’을 요구하고 있다.

 

유통업과 수출 산업의 불씨를 다시 살려내기 위해선 구조적 해결책이 절실하다.

 

첫째, 유통업계의 디지털 전환에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중소 유통업체를 대상으로 디지털 POS 및 이커머스 플랫폼 구축을 위한 보조금을 확대해야 한다. 또 AI 기반의 재고 관리 시스템 보급 등으로 운영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둘째, 식음료 수출 기업을 위한 ‘신시장 개척 펀드’ 등 글로벌 마케팅 방안 마련에 나서야 한다.

 

아세안과 중동 등 신흥시장을 타깃으로 하는 K-푸드 지원 전담 기구 설립도 필요하다. 해외 박람회와 온라인 판촉전 지원을 확대하는 정책적 뒷받침 역시 절실하다.

 

셋째, 무너진 국제 신뢰 회복을 위해 외교와 경제가 연계된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외교부와 산업부는 무역외교를 전담할 TF를 구성하고 적극적인 운영에 나서야 한다. 한미는 물론 한중, 한일 FTA 조정 테이블의 재가동도 시급하다. 이를 통해 무역 마찰을 최소화하는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경제는 속도가 아니라 방향성이 중요하다.

 

윤석열 정부가 놓쳤던 그 방향을 새로 들어서는 정부는 기필코 되찾아야 한다.

 

무너진 신뢰와 흐트러진 산업 생태계를 복원할 정책적 리더십이야말로 2025년 대한민국 경제의 핵심 키워드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BEST 뉴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주요기업 채용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