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2 뷰] 김관영 도지사, 중앙의 변두리에서 벗어나 권한과 기업을 되찾은 전북 만들어

구윤철 기자 입력 : 2025.04.13 11:24 ㅣ 수정 : 2025.04.13 11:24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가 “이름만 특별한 자치도가 아니라, 실제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행정을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사진=전북특별자치도 제공]

 

[전북/뉴스투데이=구윤철 기자] 전북특별자치도는 한동안 대한민국의 가장자리에서 중심을 바라보는 위치에 머물러 있었다.

 

중앙정부 주도의 균형발전 정책은 해마다 되풀이됐지만 변화는 수치보다 기대에 머무는 일이 많았다.

 

산업기반은 느리게 확장됐고 인구는 줄어들었고 전북지역 스스로가 미래를 결정할 수 있는 구조는 여전히 제한적이었다.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가 도정의 전면에 나선 것은 그 배경 위에서였다. 그리고 김관영 도지사는 전북특별자치도의 길을 다르게 설계하기 시작했다.

 

김관영 지사가 가장 먼저 꺼내든 카드는 ‘특별자치도’라는 제도적 실험이었다.

 

수십 년간 중앙정부에 예속돼 온 전북의 행정 체계를 근본적으로 바꾸기 위해 김 지사는 '전북특별자치도' 추진을 행정의 핵심 축으로 삼았다.

 

2024년 1월, 전국에서 세 번째로 전북특별자치도가 공식 출범했고 김관영 도지사는 그 초대 전북특별자치도지사로 취임했다.

 

이는 단순한 명칭 변경이 아니라 지방자치의 실질적 권한과 자율성을 되찾기 위한 제도적 시작점이었다.

 

김 지사는 단호하게 “이름만 특별한 자치도가 아니라, 실제 권한을 행사할 수 있는 행정을 만들겠다”고 선언했고 그 약속은 곧바로 실행으로 옮겨졌다. 

 

기획재정부, 행안부, 국토부 등과 협의를 거쳐 67건에 이르는 중앙정부 권한을 전라북도로 이양하기 위한 행정 절차를 완료했고 지방이양사무특별법 시행령 개정에도 전북의 요구 사항이 포함됐다. 

 

그 결과, 농생명산업, 새만금개발, 지역인재 육성 등 핵심 분야에서 전북이 스스로 계획하고 예산을 집행할 수 있는 구조가 현실화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구조만 바꾼다고 지역이 살아나는 것은 아니기에 김관영 지사는 곧바로 두 번째 기둥, 투자유치 시스템 개편과 산업기반 구축에 착수했다.

 

전북은 오랫동안 투자유치 최하위권에 머물렀고 기업 정착률도 낮은 지역으로 평가 받기도 했다. 

 

김관영 도지사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그는 ‘1기업 1공무원 전담관리제’를 도입하고 기업이 처음 전북을 찾는 순간부터 인허가·부지·세제·고용 등 전 과정을 하나의 창구로 밀착 지원하는 행정 시스템을 정비했다.

 

그 결과는 숫자로 입증됐다.

 

도정 1년 차에는 60개 기업, 5조 3,511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고 2년 차인 2024년에는 70개 기업으로부터 7조 4,883억 원 규모의 투자 협약을 체결했다.

 

특히, 이차전지 특화단지 유치, 방위산업 집적화 계획, 농생명바이오 클러스터 추진 등 전북에는 없었던 산업군이 실체를 갖기 시작했다.

 

김관영 도지사는 “이제 전북은 공장 없는 도가 아니다”라는 메시지를 조용히, 그러나 단호하게 전달하고 있고 정책은 단순히 유치로 끝나지 않아 보인다. 

 

김 지사는 새만금투자진흥지구를 실질적으로 가동시키기 위해 국가계획으로 방치됐던 투자단지 인프라를 재정비했고 기회발전특구 지정을 위한 특별법 통과에도 앞장서고 있다.

 

투자유치가 유행처럼 소모되지 않고 지역 산업과 세수, 고용으로 환원될 수 있도록 연결망을 설계하는 방식은 전북 도정 역사상 매우 드문 접근이었다.

 

김 지사의 방식은 조용하다. 그는 숫자나 구호보다 제도를 바꾸고 시스템을 설계하며 근본적인 흐름을 바꾸는 데 집중해 왔다.

 

지금 전북은, 이전에는 가질 수 없던 권한을 갖고 있고 기업은 행정을 불신하지 않고 도민은 변화의 가능성을 체감하고 있다.

 

이것은 1년 만에 끝나는 변화가 아니라 전북이 중심으로 나아가기 위한 구조 자체를 바꾼 시정의 방향 전환이라 할 수 있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주요기업 채용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