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글로벌 방산 골드러시 시대’ 선점 위한 도전적·적극적 시장진출 전략 필요
산업연구원,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글로벌 방산시장의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 발표
국방예산과 무기획득예산, 기존 전망치보다 각각 2조 달러, 6000억 달러 증가 전망

[뉴스투데이=김한경 기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글로벌 방산 골드러시 시대’에 진입한 가운데 이를 선점하기 위한 도전적이고 적극적인 글로벌 방산시장 진출 전략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산업연구원이 27일 발표한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글로벌 방산시장의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앞으로 10년(2023∼2032년)간 전 세계 국방예산은 기존 전망치보다 2조 달러(2600조원), 무기획득예산은 6000억 달러(780조원) 이상 증가할 전망이다.
이는 우크라이나와 인접한 폴란드, 루마니아 등 동·북유럽 국가부터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이집트 등 중동 국가와 대만, 일본, 호주 등 아시아·태평양 국가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 무기 수요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무기수요 급증에 따라 무기구매국들이 요구하는 높은 성능과 품질, 합리적인 가격, 신속한 납기능력, 안정적 군수지원 그리고 기술이전과 산업협력(절충교역) 등을 충족시킬 수 있는 국가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손으로 꼽을 정도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미국은 탄약류와 미사일 재고 부족에 고심하고 있는 데다, 독일·영국·프랑스·이탈리아 등 주요 무기수출국들은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에 따른 자국의 전력 공백을 보충하기 위한 수요로 수출 여력이 없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이러한 상황이 한국, 튀르키예 등 글로벌 방산시장을 확대하려는 신흥 무기수출국들에게 다시 오기 어려운 ‘천재일우’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면서, 향후 수년간 글로벌 방위산업의 골드 러시 시대를 선점하기 위한 이들의 경쟁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장원준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정부가 목표하는 2027년까지 ‘글로벌 방산수출 4대 강국’ 진입을 위해서는 글로벌 방산 골드러시 시대의 수혜를 극대화하기 위한 보다 도전적이고 적극적인 시장진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지난 10여년 간 미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호주, 튀르키예, UAE 등 15개국에 구축한 권역별 방산수출 거점 국가를 확대해 나가는 한편, 현궁·비궁·탄약류·군수지원함 등 신규 수출 주력제품을 발굴하고, 러시아·중국의 점유율 하락에 따른 틈새시장을 공략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우방국과의 방산공급망 협력 강화 및 리스크 대응체계 조기 구축, 수출절충교역 지원방안 마련, 선진국 수준의 컨트롤타워 강화 등을 통해 ‘자유민주주의의 무기고’로서 한국의 글로벌 위상을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