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대선 노동·일자리 공약(2)] 김문수 후보, 'AI 청년 인재 20만명 양성'…첨단 분야 일자리‧노동 존중에 차별화

박진영 기자 입력 : 2025.05.07 18:00 ㅣ 수정 : 2025.05.07 18:00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청년‧노동 약자 위한 일자리 공약 발표
AI 일자리‧신입 공채 확대 전략 제시…정년 기준 기업 자율에 맡겨
무소속 한덕수 후보와 '후보 단일화' 갈등 격화로 유권자 관심 낮아져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 지난달 초 기아오산교육센터에서 전기차 정비 인력 양성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사진=고용노동부]

 

[뉴스투데이=박진영 기자] 국민의힘 김문수 대통령 후보는 과거 고용노동부 장관, 경사노위 위원장 등의 경험을 바탕으로 일자리와 노동 분야에 혁신을 불러일으킨다는 전략을 내세워 6‧3 대선을 준비하고 있다. 김 후보는  △신기술 분야 인재 양성 △청년 일자리 확대 △민간 주도 일자리 창출 △노동시장 유연화 등에 초점을 맞춰 일자리를 늘린다는 공약을 발표했다.

 

김 후보는 지난 3일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 당선자 수락연설에서 "기업하기 좋은 대한민국, 노동 약자를 따뜻하게 보살피는 정부를 만들겠다"면서 "청년들이 꿈꾸는 일자리, 청년들이 결혼할 수 있는 환경, 청년 기업가의 창업 천국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김 후보는 청년 일자리 확대를 위해 인공지능(AI) 등 첨단 분야 일자리를 창출하고, 대기업 신입 공채 제도를 지원한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 김 후보는 지난달 18일 서울 여의도 선거 사무소에서 공약 발표 회견을 열어 이와 관련한 공약을 발표했다. 김 후보는 "AI 3대 강국 진입을 목표로 AI 인재 20만명을 양성하고, AI 유니콘 기업 지원, 권역별 AI 융합지원센터 구축 등 첨단산업 일자리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또, 반도체·이차전지 등 10대 신기술을 국가 전략 프로젝트로 지정하고, 규제개혁 패스트트랙 도입을 약속했다.

 

김 후보는 최근 신입 채용이 줄고 있는 현상에 대한 대비책도 마련했다. 김 후보는 공약 발표 회견에서 "신입 공채 제도는 대기업 신규 입사의 등용문이었으나, 지금은 삼성을 제외한 많은 기업들이 이 제도를 폐지했다"고 언급하면서 "공채 제도를 통해 대학 졸업자의 취업 시점을 앞당기고, 채용의 공정성과 예측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김 후보는 다음 정부의 역할에 대해서는 "공채를 통해 신입사원을 채용하는 기업에 법인세를 감면하고, 이 기업들이 정부 사업에 입찰할 경우 가산점을 부여하겠다"며 ESG 평가에서 우대하는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침에 대해 언급했다.

 

또, 김 후보는 신입 공채 전문가 육성 프로그램에 대한 세액공제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 기존에 지원했던 강의료, 교재비를 넘어서 시설비와 같이 규모가 큰 부분에 대한 인력개발 세액 공제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image
김문수 후보 일자리 공약 정리 [자료=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 정책 공약 발표 내용 / 표=박진영 기자]

 

김 후보는 청년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데 실질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기업들을 집중 공략해 취업률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 김 후보는 '기업하기 좋은 나라'를 1호 공약으로 내세우며, 규제 완화와 기업 지원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일자리를 창출하는 기업에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법인세의 최고 세율을 24%에서 21%로 내리며, 상속세를 최대 50%에서 30%로 인하해 기업의 부담을 줄일 방침이다.

 

이뿐만 아니라 정부의 행정적인 지원도 강화한다. 대통령실에 기업 담당 민원 수석을 신설하고, 기업 투자 종합지원센터를 설립해 인프라와 지식재산, 기술, 세금 등을 하나의 패키지로 지원한다.

 

김 후보는 노동자의 권리를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도 추진할 계획이다. 근로시간 제도를 주 단위에서 월·분기·연 단위로 점진적으로 확대해 기업과 노동자의 자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조선업, 반도체 등 특정 시기에 일감이 몰리는 업종에서 근무 시간을 탄력적으로 운영할 방침이다.

 

김 후보는 정년 연장에 대해서는 기업이 자율적으로 퇴직 시기를 정할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하겠다고 밝혔다. 고용 취약 계층을 위해서는 5인 미만 사업장에 근로기준법을 적용하고, 플랫폼 노동자 등 노동 약자를 보호하는 법을 제도화할 방침이다.

 

한편, 김 후보는 최근 대선 출마를 선언한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후보 단일화'를 두고 극심한 갈등을 빚고 있다. 기업과 청년, 노동약자에 대한 대대적인 일자리 정책 개편을 계획중인 김 후보에게 한 전 총리의 '단일화 압박'은 선거유세를 제한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단일화를 둘러싼 한 전 총리와의 기싸움이 격화될수록 김 후보의 일자리 공약에 대한 유권자의 관심이 낮아진다는 딜레마에 처한 셈이다. 

 

 

BEST 뉴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주요기업 채용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