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승리 향한 대선 삼국지...이재명‧김문수‧이준석 부산 공약

김영남 기자 입력 : 2025.05.13 15:26 ㅣ 수정 : 2025.05.13 15:26

이재명 "해양 강국 중심‧K-콘텐츠 수도 부산"vs김문수 "부울경 GTX"vs이준석 "리쇼어링 부산산업 재도약"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image
여야 대표 대선 주자 이재명‧김문수‧이준석 후보가 부산 맞춤형 공약을 제시했다. 사진제공=민주당 선대위‧국민의힘 선대위‧개혁신당 선대위

 

[부산/뉴스투데이=김영남 선임기자]드디어 6·3 대통령 선거 공식 선거운동의 막이 올랐다. 여야 대선 후보들의 부산 지역 민심을 사로잡기 위한 맞춤형 공약들이 제시되면서 본격적인 선거레이스가 시작됐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가 제시하는 공약이 부산 유권자의 표심을 사로 잡을 수 있을지 기대되는 대목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해양 강국 중심‧K-콘텐츠 수도 부산"

 

이재명 후보의 부산 지역 공약 핵심은 부산을 해양강국 중심으로 만드는 것으로 그 핵심은 해수부 부산 이전 등을 들 수 있다. 해수부 부산 이전을 통해 현장 중심 정책 집행을 하겠다는 이 후보의 의지표명이다. 

 

아울러 이 후보는 조선, 물류, 북극항로 개척 등 첨단 해양산업 정책의 집행력을 확보도 강조하면서, 국내외 해운·물류 대기업 본사와 R&D센터를 유치해 해양클러스터를 조성, 청년들이 선호하는 좋은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약속을 한 바 있다.

 

이 후보는 또한 해운·물류 관련 공공기관 이전을 추진하고 해사 전문법원도 신설해, 해양강국 기반을 탄탄히 다지면서, 지역 전략산업, 소부장 제조기업, 스타트업 등에 성장단계별 맞춤형 자금을 안정적으로 공급, 부산을 청년이 모이고, 세계가 주목하는 e-스포츠 산업 중심지로 키우겠다는 의지를 피력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이재명 후보는 부산을 K-콘텐츠 수도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 후보는 '경제강국'을 1호 공약으로 내세우면서 부산을 포함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K-콘텐츠 산업 집중 육성을 강조하기도 했는데,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첨단 인프라를 구축하고, 콘텐츠 창작 전 과정을 국가가 지원, 부산국제영화제, 게임·애니메이션 산업 등 지역 특화산업과 시너지를 창출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또한 문화도시 부산이라는 이미지를 바탕으로 '글로벌 문화강국 빅5' 도약을 위한 핵심 거점으로 육성할 계획이며, 국방 AI 연구개발(R&D) 투자 확대와 연계해 부산지역의 방산·소프트웨어 산업과 협업 기반도 마련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기도 했다.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부울경 GTX로 초광역권 시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의 부울경 핵심 공약은 부산·울산·경남을 연결하는 광역급행철도(GTX) 사업이다.

 

김 후보가 제시한 부울경 GTX는 부산의 하단, 북항, 부전, 오시리아를 포함해 가덕신공항과 김해공항, 창원, 울산까지 잇는 총 세 개 노선으로 구상돼 있으며, 국제공항과 주요 산업·관광지를 연결, 물류·산업·관광을 아우르는 것이다.

 

김 후보의 경우 가덕신공항 개항과 함께 부울경 GTX가 완성되면 부산은 동북아 물류 중심도시로 성장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고,  AI·에너지 강국 공약과 연계해 부산을 해양에너지와 인공지능 산업의 테스트베드로 삼겠다는 약속을 하기도 했다.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 "리쇼어링으로 부산 산업 재도약"

 

이준석 후보의 부산 관련 공약은 지역산업 회복을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 후보 경우 리쇼어링(해외 진출 기업의 국내 복귀)을 핵심 전략으로 삼아, 해외로 이전한 국내 기업을 부산과 같은 주요 산업단지로 복귀시키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이 후보는 과거 조선·자동차 부품 중심의 산업 구조에서 쇠퇴한 부산의 공업지대를 '제2의 도약' 거점으로 재구성하겠다고 약속했다.

 

아울러 이 후보는 지방자치단체가 지역 기업 유치를 위해 법인지방소득세율을 자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법인세 자치권 확대'도 제시했다.

 

규제 완화를 위한 '규제기준국가제' 도입으로 부산의 창업 환경도 개선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는데, 산업 전문가·연구자 대상 연금 제도, 그리고 출입국 패스트트랙 혜택 등 우수 기술 인력 유치 방안도 부산 과학기술 생태계 조성과 함께 제안하기도 했다.

 

선거운동 초반 각 후보가 강조하는 부산 지역 맞춤 공약이 과연 유권자들의 마음을 얼마나 움직일 수 있을지 계속해서 지켜볼 일이다.

BEST 뉴스

댓글 (0)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0 /250
 

주요기업 채용정보